주요 서비스
게임 친숙화(Familiarization)
게임 친숙화는 현지화 업무를 시작하기 전에 고객이 제공한 자료(In-game 텍스트, 기획 문서, 캐릭터 정보 문서, 게임 빌드 등)를 기준으로 게임 내용을 분석 및 습득하여 해당 게임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과정입니다. 게임 빌드가 제공된다면 게임을 직접 플레이하며 분석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아무리 많은 자료가 있어도 전체적인 게임 분위기를 익히기에는 실제 플레이하는 것보다 좋은 것은 없다고 생각합니다. 게임 플레이와 자료 학습을 병행할 때 가장 효과적인 친숙화 작업이 가능합니다.
게임 친숙화는 현지화를 진행하기 위한 사전 서비스 중 하나이기 때문에 별도 서비스로 독립되어 제공하지 않으며 현지화를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한해 제공 여부를 결정합니다. 관련 비용은 현지화 비용에 합산하여 청구합니다.
친숙화 시간은 고객의 선택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전체 일정의 여유가 있다면(물론 그런 경우는 없지만…) 약 2주 정도의 친숙화 기간을 갖는 것이 좋습니다. 2주라면 게임을 충분히 플레이하고 자료를 분석할 수 있는 시간적인 여유가 확보됩니다. 해당 기간 동안 친숙화를 진행함과 동시에 용어집 및 스타일 가이드도 제작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인 문제(비용, 일정 지연)들 때문에 친숙화가 진행되는 경우는 극히 드뭅니다. 친숙화 과정에 대해 고객이 주로 난감해 하는 부분은 일정보다는 비용 쪽입니다. 친숙화 비용은 최저 임금으로만 산정해도 1인 기준 2주간 70만 원이 넘으며, 여기에 회사의 이익, 담당자의 숙련도에 따라 비용이 올라가게 되므로 200만 원 이상의 비용이 청구될 수 있습니다. 번역도 시작하지 않은 마당에 200만 원이라는 돈이 추가로 필요하다고 말씀드리면 대부분의 고객이 난색을 표합니다. 따라서 게임 친숙화 서비스는 반드시 사전 설명을 충분히 하여 비용과 일정에 대한 고객 동의를 구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업무 담당자> Project Manager, Linguist, Translator
현지화 엔지니어링(Localization Engineering)
현지화가 필요한 파일이 전달되면 해당 파일을 분석하여 번역이 필요한 부분과 그렇지 않은 부분을 구분하는 작업을 합니다. 현지화 엔지니어는 이 부분을 모두 확인한 후 이를 근거로 전체 번역 분량을 나타내는 log 파일을 작성합니다. log 파일 작성 후에는 CAT Tool에서 해당 번역 파일을 인식할 수 있도록 파일 변환을 진행합니다. 변환 과정에서 필요한 메타 정보(화자(話者) 정보, 캐릭터 정보, 지역 정보, 대사의 어투 등등)가 있다면 이 내용을 모든 작업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번역 파일과 매칭하는 작업을 합니다. 정보 매칭까지 완료한 후에 마지막으로 번역할 내용 속에 담긴 비번역 대상 즉, 변수, 색깔을 나타내는 태그, 프로그래밍 정보 등 텍스트에는 존재하나 실제 게임 화면에는 등장하지 않는 내용들을 작업자가 무심코 수정 또는 삭제하지 못하게 만드는 작업을 합니다.
마지막으로 번역 및 모든 과정을 마친 파일이 전달되면 해당 CAT Tool용 파일 형식을 다시 원본 형식으로 되돌리는 작업을 합니다. 이 과정에서 나타날 수도 있는 오류를 사전에 인지하여 오류 없이 최종 파일을 만들어내야 합니다.
<업무 담당자> Localization Engineer
소스 재작성(Source Rewriting)
소스 재작성 서비스를 통해 고객이 제공한 원본 파일에 내재되어 있는 근본적인 문제를 번역이 진행되기 전에 검토 및 수정하여 이후 진행될 번역의 품질을 끌어올림과 동시에 원본 텍스트의 품질 향상까지 도모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의 범위는 원본의 품질 상태에 따라 시간의 차등을 두어 진행합니다. 이 서비스는 한국어를 원문으로 사용하는 국내 게임 개발사를 대상으로 구성하였으며 단순하게는 기본적인 오탈자 수정 및 문맥에 어울리지 않는 문장을 다듬는 등의 업무를 들 수 있고, 원본의 품질 상태는 나쁘지 않지만 영문으로 번역이 어려운 내용(예: 한국인만 이해할 수 있는 조어식 말장난, 한국적인 색채가 너무 강한 콘텐츠 중 해외 유저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이기 어려운 내용 등)에 대비해 원문 내용을 영어 및 기타 언어 번역이 가능한 수준으로 변경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과정은 Internationalization이라고 부르는 표준화 작업의 일환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서비스는 업계의 고질적인 시간 부족 문제로 인해 필자의 경험으로는 실제 시행된 사례가 없는 서비스입니다. 이론적으로는 가능하며 필요하기도 한 서비스이지만 높은 현실의 벽(비용, 시간)으로 인해 제대로 자리잡지 못한 서비스입니다.
<업무 담당자> Source Rewriter or Linguist
에셋 관리(Asset Management)
번역 후 발생하는 모든 결과물을 정리하여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번역 결과물에는 최종 번역본, 최초 원본, 해당 Translation Memory, Termbase, 파일 엔지니어링 결과물, 관련 쿼리 시트, 작업 참여자 정보 등이 있습니다. 에셋을 별도로 정리하여 관리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한번 출시하고 나면 수정도 불가능하고 추가 업데이트도 없었던 과거에 비해 최근 게임은 모든 플랫폼이 온라인화 되어 중간에 내용을 수정하는 업데이트나 추가 콘텐츠(DLC: Downloadable Contents)를 번역해야 하는 경우가 거의 필수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최초 작업이 완료되었더라도 해당 에셋을 모두 정리하여 다음에 있을 추가 작업에 대비해야 합니다. 또한 모든 작업 완료 후, 계약이 종료되는 시점에서 고객이 원할 경우 해당 내용을 정리하여 제공하는 것도 현지화 작업자의 의무입니다.
<업무 담당자> Project Manager
TEP(Translation, Editing, Proofreading)
현지화 업무에서 가장 핵심이 되는 서비스입니다. TEP는 각각 번역(Translation), 검수(Editing/Review), 감수(Proofreading)를 줄여서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실제로 현지화 품질의 90% 이상을 결정하는 서비스라고 생각해 주시면 됩니다. T는 번역 담당자, E는 링귀스트(Linguist), P는 원어민 감수자를 통해 진행하며, 이 진행 과정을 Project Manager가 관리/지원합니다. 현지화 업체에서 제공하는 모든 서비스는 TEP의 품질 향상 및 유지를 위해서 존재하는 서비스입니다. 가장 중요한 서비스라는 인식을 가져 주시길 부탁드립니다.
<업무 담당자> Project Manager, Translator, Linguist
검수(Editing/Review + Simple QA)
이미 번역이 완료된 상태로 검수 작업만 의뢰할 경우 제공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기 번역된 자료를 먼저 살펴보면서 품질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품질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번역물을 검수하는 것은 완전히 새로 번역하는 것보다 많은 비용과 시간을 소모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담당자(Linguist)의 사전 검토를 통해 대략적인 품질 수준을 파악하고 실제로 검수를 통한 품질 개선의 효율이 너무 적다고 판단되면 업무를 수주하지 않거나 고객에게 재번역을 제안해야 합니다. 단, 재번역을 제안할 때는 고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의 객관적 증거(예: 과도하게 많은 오탈자, 문법 오류, 부적절한 단어 선택 등)를 제시하여 해당 서비스 제공이 어려움을 알려야 합니다.
<업무 담당자> Linguist
번역(Translation + Simple QA)
Editing, Proofreading 등의 후반 작업 없이 번역만 진행하여 납품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의 경우 단순히 번역가의 역량에 따라 품질이 좌우될 수 있으며 2 ~3차에 걸친 검수 과정을 생략하기 때문에 품질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을 고객에게 미리 고지해야 합니다. 본 서비스의 목적 및 과정에 대해 고객이 동의하고 의뢰할 때만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번역 완료 후에는 문장 일관성 확인과 용어집 일관성 확인(고객 제공 시)만 진행하는 단순 QA를 완료하여 납품합니다.
<업무 담당자> Project Manager, Translator
LQA(Linguistic Quality Assurance)
TEP 완료 후 마지막으로 전체적인 문장/문단의 일관성 확인, 확정된 용어가 일관성 있게 적용되었는지의 여부 등을 확인하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모든 TEP 서비스 또는 기타 관련 서비스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게임 개발사에도 이와 동일한 이름의 게임 검수 과정이 있습니다. 해당 과정에서는 텍스트 뿐만 아니라 해당 텍스트의 내용대로 게임의 UI가 정상 동작하는지를 확인하는 기능 테스트 영역도 포함하기 때문에 게임 현지화 관련 상담을 진행할 경우에는 이 서비스의 범위를 정확하게 고객에게 설명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업무 담당자> Linguist
LQAT(Linguistic Quality Assurance Test)
TEP를 마친 최종 텍스트를 게임에 적용하여 확인하는 과정입니다. 번역하지 않은 텍스트는 없는지, UI 밖으로 빠져나오거나 UI에서 출력이 되지 않는 텍스트는 없는지를 확인하며 텍스트의 단순 오탈자도 이 과정에서 함께 검토합니다. 또한 사용한 글꼴(Font)의 적합성에 대해 고객에게 의견을 제시할 수도 있으며 단순히 텍스트만 보면서 번역할 때는 확인이 어려웠던 문맥 간의 조화 여부도 함께 확인합니다. LQAT에서 확인된 오류는 가급적 스크린숏이 포함된 별도의 보고서를 작성하여 담당 Linguist와 함께 검토 및 수정하여 최종본을 완성합니다.
<업무 담당자> Linguist, LQA Tester
관련 콘텐츠 함께보기
2023.07.17 - [게임] - 게임 현지화 - 게임 번역 회사의 제공 가능한 서비스는?
2023.08.22 - [게임] - 게임 현지화 관련 직업 - 게임 번역가
2023.09.08 - [게임] - 번역가 채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 Feat 게임 번역가
2023.07.17 - [게임] - 게임 현지화 - 업계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문 용어
2023.12.01 - [게임] - 게임 현지화 관련 직업 - 프로젝트 매니저(PM)
2023.12.01 - [게임] - 게임 현지화 관련 직업 - 링귀스트(Linguist)
2023.12.07 - [게임] - 게임 현지화 관련 직업 - 현지화 엔지니어, LQA 테스터, 벤더매니저
2024.04.27 - [게임] - 게임 현지화 기초: 번역 파일 준비와 빌드 전달 프로세스
2024.04.27 - [게임] - 게임 번역 견적서 작성 가이드: 로그 분석에서 친숙화까지
2024.04.27 - [게임] - 글로벌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첫걸음: 번역 팀 구성과 운영 노하우
2024.04.27 - [게임] - 번역가 선정에서 납품까지: 게임 현지화 프로젝트 완벽 가이드
2024.04.27 - [게임] - 스타일과 일관성, 번역에서의 중요성과 검토 방법
2024.04.27 - [게임] - 게임 현지화의 마지막 퍼즐: 효과적인 음성 녹음 방법 탐색
2024.04.27 - [게임] - 게임 녹음의 미세한 차이: 자막 일치를 위한 대본 수정의 중요성
2024.04.27 - [게임] - 게임 번역의 고단함: 고객 피드백 이해와 수용 방안
2024.04.27 - [게임] - 효율적인 LQA 테스트로 게임 퀄리티 높이기
2024.04.27 - [게임] - 번역 프로젝트 완벽 마무리하기: QA, 납품, 그리고 포스트모템
'게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비소프트 구조조정 소식이 전해졌다 (102) | 2023.11.10 |
---|---|
번역가 채용은 어떻게 이루어지나? - Feat 게임 번역가 (156) | 2023.09.13 |
게임 현지화 관련 직업 - 게임 번역가 (164) | 2023.09.12 |
게임 현지화 - 업계 사람들이 사용하는 전문 용어 (184) | 2023.09.10 |
라스트오브어스(라오어) 파트 1 - 리메이크 소식 (0) | 2022.09.01 |
댓글